부동산소식

[스크랩] "경북도청 부지 대구 상징 장소로" 대구시 방안 고심

오도화 2010. 7. 9. 19:13
"경북도청 부지 대구 상징 장소로" 대구시 방안 고심
 도시계획 맡은 대구시 부지 활용방안 고심

 공원 조성·공공기관 이전·청사 건립 등 검토

 

 

경북도청 이전지가 결정되면서 새삼 부각되고 있는 사안이 현 도청부지의 향후 활용 문제다.

경북도는 아직 구체적 입장을 정리하지 못하고 있는 가운데, 이곳 부지의 도시계획 책임을 지고 있는 대구시에서는 시청사 혹은 국가공공기관 이전 등의 얘기가 나오고 있다.

경북도청 부지는 생각보다 크다. 경북도를 비롯해 도의회, 도교육청, 도경찰청, 새마을운동본부경북지부, 선거관리위원회 등 각종 기관이 입주해 있다.

총 면적은 13만9천㎡(4만2천평)이다. 이 가운데 녹지면적이 6만6천489㎡로 전체 면적의 약 절반(48%)에 가깝다. 산재한 건물은 도청본관을 비롯해 총 39개동, 연면적 5만2천㎡(1만5천732평)이다. 도심을 바라보는 약간 고지대라, 세간에서는 명당자리로 통한다.

대구시청사의 도청 부지로의 이전은 종전부터 제기되던 사안이다. 대구시는 최근 시청사의 건립 계획을 재검토하면서 여러 안 중의 하나로 올려 놓고 있다.

전체 부지를 매입하고 건물을 리모델링하면 청사로서는 손색이 없기 때문이다. 부지매입비(공시지가 기준 917억원)와 건물 리모델링비를 포함, 1천280억원이 소요될 것으로 예상한다.

그러나 지금 시점에서는 그 가능성이 희박하다. 도청이전 문제가 워낙 지루한 공방을 이어온 탓에 상황이 많이 바뀌었기 때문이다.

대구시는 현재 비좁은 청사문제를 하루 빨리 해결해야 할 입장이다. 주요 부서가 도심내 여러 빌딩에 세들어
살면서 행정업무에 심각한 악영향을 미치고 있다. 반면 경북도청 이전은 아무리 빨라도 2013년은 돼야 가능하고, 시청사 이전은 이때부터 준비할 수 있기 때문에 시기적으로 도저히 감내할 수 없다.

핵심적인 사안은 대구시가 도청부지에 대해 시청사 이전 등을 놓고 장기적 관점에서 접근해오지 않았다는 점이다.

예를 들면 지하철 1·2호선은 물론 현재 추진 중인 3호선도 경북도청사를 지나지 않는다. 대구시가 도시계획 차원에서 수조원을 들여 만든 지하철이 시청 주변을 통과하지 않는다면 굉장한 낭패일 수밖에 없다.

여기다 현 청사의 역사성과 장소성이 새삼 부각되면서 시청사는 기존 자리에 반드시 둬야 한다는 전문가들의 목소리가 설득력을 얻고 있다. 세계 유력 도시치고 도시 중앙의 시청사를 함부로 옮긴 예는 없다는 것.

이영선 대구시 회계과장은 "도청사도 하나의 대안이지만, 여러 여건을 고려하면 가능성이 낮다"고 말했다.

한편 도청 이전후 부지활용에 대해 대구시와 경북도의 입장 차이가 노출될 우려가 없지 않다.

대구시로서는 도시계획을 통해 공원화 혹은 국가 공공기관 이전 등 대구를 상징할 장소로 만들고 싶지만, 경북도의 경우 부지를 팔아 재원을 마련해야 한다는 유혹이 앞설 것이기 때문이다.

경북도가 현 도청부지를 아파트 업자에게 팔겠다고 나선다면 대구시로서는 결코 찬성할 수 없을 것 아니냐는 것이 대구시 관계자들의 시선이다.
출처 : 지앤지 http://gngon.net
글쓴이 : 지앤지 부동산 원글보기
메모 :